시작하기
웹 앱에서 PowerPools에 액세스하려면 화면 우측 상단의 풀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그러면 PowerPools AMM 화면이 열립니다. 현재 보유 중인 활성, 비활성 풀이 내 풀 화면에 표시되며 토글 스위치를 사용해 활성 및 비활성 풀 보기 사이를 토글할 수 있습니다.
풀 만들기
풀을 만드려면 풀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풀 만들기 화면이 열립니다.
이곳에서 간단하게 풀을 만들 수 있습니다.
1단계: 풀 이름 지정 (선택 사항)
선택 사항인 이 단계에서는 만드려는 풀에 사용자 지정 이름을 지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 풀로 유동성을 분할하려는 경우 풀을 지속 추적할 수 있습니다. 풀에 이름을 입력하려면 + 레이블 추가 텍스트 필드를 클릭합니다.
2단계: 통화쌍 선택
기본 통화쌍은 BTC-USD이나 다른 쌍을 원하면 통화쌍 선택 드롭다운 메뉴를 이용하세요.
화면이 바뀌어 선택한 통화쌍에 대한 적절한 매개변수를 표시합니다.
3단계: 입금액 지정
이 단계에서는 통화쌍의 각 자산을 얼마나 풀에 최초로 입금하고 싶은지 지정해야 합니다. 풀이 균형을 이루도록 가격 범위를 고려하여 각 자산의 적절한 수량을 새 풀에 입금해야 합니다...
입금하려는 수량을 직접 입력하거나 자산 티커 아래 표기되는 잔고를 클릭하여 풀에 대해 계정의 잔고 전액을 사용하도록 PowerPools에 자동으로 알릴 수 있습니다. 한 자산의 입금액을 지정하면 앱이 자동으로 두 번째 자산의 필수 입금액을 산출합니다.
주의: 출시 초기에는 설정된 가격 범위에 따라 사용자는 균형된 풀을 만들 만큼 충분한 양을 각 자산별로 입금해야 하나, 향후 업데이트에서는 사용자가 각 자산을 불균형적으로 입금하고 PowerTrade 플랫폼이 자동으로 현물 거래를 수행하여 풀의 균형을 이룰 수 있습니다.
4단계: 가격 범위 지정
풀에 적용할 통화쌍의 가격 범위를 지정합니다. 자산의 현물 가격이 이 범위 안에 있으면 풀이 활성 상태를 유지하고 수수료 창출을 지속합니다. 자산의 현물 가격이 범위를 범어서면 풀이 범위를 벗어나고 시세가 범위 안으로 되돌아 올 때까지 수수료 창출이 중단됩니다.
하단 경계의 기본값은 현재 현물 가격의 약 -15%로 자동 기입되며 상단 경계의 기본값은 현재 현물 가격의 약 +30%로 자동 기입되나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가격 범위 슬라이더를 사용하거나 상하단 경계값을 직접 입력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주의: 가격 범위를 넓게 설정하면 시장 변동성이 높아져도 풀이 활성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지나 유동성이 분산되어 거래당 수수료가 낮아집니다. 반대로 범위를 좁게 설정하면 유동성이 좁은 범위로 집중되어 거래당 수수료가 높아지나 시장 변동성으로 인해 자산의 현물 가격이 범위를 벗어나면 풀이 비활성화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5단계: 허용 범위 설정
허용 범위 슬라이더는 통화쌍을 구성하는 통화의 수량이 불균형인 풀을 만들 때나 기존 풀에 불균형된 유동성을 추가할 때 적용됩니다. 이 경우 PowerPools는 사용자를 대신해 현물 거래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풀의 균형을 이루고 풀에 대한 허용 범위를 설정하면 해당 현물 거래에서 허용할 수 있는 최대 하락을 지정합니다.
6단계: 수수료 지정
수수료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풀이 청구하는 수수료 퍼센티지를 지정합니다.
낮은 수수료를 지정하면 풀이 소규모 주문을 보다 긴밀히 규합합니다. 거래 빈도가 높지만 규모가 작습니다. 거래량과 변동성이 낮은 슬로우 마켓에 적합합니다.
수수료를 높게 지정하면 풀이 주문을 넓게 분산시키지만 사이즈가 커집니다. 거래량과 변동성이 높은 패스트 마켓에 적합하나 반대 장세에서는 수익이 크게 감소합니다.
7단계: 확인
매개변수를 확인하고 설정한 조건이 마음에 들면 초록색 풀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를 통해 새로 만든 풀에 대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축하합니다! 활성 풀을 설정했으며 이제 수수료를 창출합니다!